밀폐공간 인재 되풀이… 현황 파악도 못한 노동부 [인천 맨홀 사망 사고 人災 上]
2025-07-28
밀폐공간 인재 되풀이… 현황 파악도 못한 노동부 [인천 맨홀 사망 사고 人災 上]사회>노동_복지2025-07-28 황남건 네이버밴드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URL 복사최근 인천 부평구청 지하 주차장에 있는 정화조 출입문에 질식 위험공간임을 알리는 표지가 붙어 있다. 황남건기자무더운 7월 아침, 인천 계양구 한 도로 밑 밀폐공간에서 작업자 2명이 숨졌다. 어두컴컴한 맨홀엔 사람 목숨을 앗아갈 수 있는 유해가스가 가득했다. 그러나 작업자들은 가스가 있는지 금방 확인할 수 있는 측정기도, 최소한의 안전 장비인 산소마스크도 사용하지 않았다. 여기에 금지된 다단계 하도급까지 이뤄지면서 벌어진 ‘인재(人災)’다.본보는 ‘인천 맨홀 작업자 사망 사고’를 계기로 맨홀 등 밀폐공간 작업의 위험성을 진단하고, 같은 사고가 반복하지 않도록 제도 개선 등 대책을 찾아본다. 편집자 주인천 맨홀 사망 사고 人災 -上인천에서 맨홀 등 밀폐공간 작업 중 질식으로 인해 숨지거나 다치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역 안팎에선 밀폐공간에 대한 현황 파악 등 실태조사와 안전장비 미착용 원인 분석을 통해 사고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27일 고용노동부로부터 정보 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밀폐공간 질식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5~2024년 인천에서만 6명이 다치거나 사망했다. 지난 2020년 8월 남동구 부품공장 정화조 청소 작업자 질식 사망 사고, 2021년 6월 부평구 아파트 정화조 오물 제거 작업자 질식 사고 등이 잇따랐다. 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화재·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 부패하기 쉬운 물질이 들어 있는 맨홀·정화조·탱크 등을 의미한다.그러나 노동부는 인천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밀폐공간이 어디에 있는지 현황 파악을 못하고 있다. 밀폐공간의 전체 현황을 모르다 보니, 노동부 산하 기관들은 밀폐공간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곳만 감독하고 있을 뿐이다.이로 인해 사업장 밀폐공간에 대한 위험 장소 안내와 산소·유해가스 농도 측정 및 환기 등 조치, 작업 시 호흡보호구 착용 등 노동부의 ‘3대 안전 수칙’도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밀폐공간 안내 표시나 안전장비 착용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더라도 감독·적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이처럼 밀폐공간이 노동부의 관리·감독 사각지대에 놓이고, 3대 안전 수칙마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서 인명사고가 반복하고 있다.지난 6일 인천 계양구 한 도로 밑 밀폐공간(맨홀)에 50대 작업자가 안전장비 없이 들어갔다가 숨졌고, 작업자를 구하려던 40대 업체 대표도 안전장비 없이 맨홀에 들어갔다가 질식해 사망했다. 즉, ‘인천 맨홀 작업자 사망 사고’도 3대 안전 수칙이 지켜지지 않아 벌어졌다.앞서 지난 6월18일 강화군 서원면에 있는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에서도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아 50대 직원 1명이 사망하고 직원 3명이 부상을 당해 병원치료를 받기도 했다.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노동당국의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밀폐공간에 대한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또 밀폐공간 안전 수칙이 왜 지켜지지 않는지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노동부 관계자는 “밀폐공간이 워낙 많은 데다 항상 작업이 이뤄지는 게 아니다 보니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거나 감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다만 질식사고 위험이 큰 업종에 대해선 감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협회 등 직능단체와 협의해 밀폐공간 현황을 파악하겠다”며 “이밖에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사고 예방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저작권은 「경기일보」에 있으며,이를 무단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